본문 바로가기
Study/2023

2025년 1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후기

by 하구땡 2025. 3. 4.
반응형

2025년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1회 차의 후기를 적어보고자 한다.

 

 

[필기시험 후기]

 

보통 1회차가 쉽게 나온다고 하던데 그래서 그런지

전체적인 시험 난이도는 기출문제도 몇 회 돌리고

개념도 적절히 중심 키워드 위주로 암기했다면 크게 어려운 부분은 없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기출 문제에서도 동일하게 출제된 것들도 있었고,

계산하는 문제도 이번에는 디스크 스케쥴링은 출제되지 않았으며

서브넷 마스크 1문제 페이지 부재 계산 1문제 출제되었다.

 

SQL문제도 쉽게 출제된 편이라고 생각한다.

DDL 키워드가 아닌 것 고르는 게 1문제 출제 됐고,

정규화 문제는 2문제 정도 나왔는데 보이스코드 정규형과 정규형의 의미로 옳지 않은 것 정도?

이번에는 2,3,4과목이 쉬웠고 1,5과목이 헷갈리는 문제들이 많았다.

 

특히 프로그래밍 쪽에서 어려운 문제가 없었다.

기본적인 반복문만 알면 가능한 정도?

파이썬 같은 경우에는 for num in range(n)의 경우 0부터 n-1까지라는 것만 유의하면 된다.

 

 

*기출문제 종류*

색인 순차 파일 특징 오버플로우 영역을 구분하는 것이 키워드
데이터 암호화/복호화를 사용하지 않는 키 해시함수를 사용하는 SHA는 복호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우 해시함수에 쓰이는 키를 골라준다.
포맷 스트링 오류의 정의  
디자인 패턴 중 생성/구조/행위 패턴의 종류들 구분 Builder, Prototype 등은 생성 패턴에 해당
LOC기법의 계산 문제  
네트워크 구성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 성형(star), 링형, 버스형, 트리형, 망형
스마트그리드, 디지털트윈, DAS, MapReduce  
OSI 7계층 중 TCP가 속하는 계층 전송계층
Secure OS의 특징  
DRM의 구성요소  
C언어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 종류들이 어떤 라이브러리인지 암기
지역성  
가상기억장치의 크기 분할 고정된 크기로 나누는 것 = 페이징 기법, 가변적 크기로 나누는 것 = 세그먼트 기법
스래싱 프로세스 수행 소요시간 < 페이지 이동 소요시간
결합도 / 응집도 각 결합도가 어느 정도의 결합을 의미하는지 정의 암기 필요
관계 대수에서 순수관계연산자가 아닌 것 고르기 SELECT / PROJECT / JOIN / DIVISION 중 셀렉트가 SECTION으로 적혀 있었다. 순간적으로 뭐가 잘못됐는지 모를 수 있으니 주의 필요
테이블 분할 (파티셔닝) 수직분할(열), 수평분할(행)
카타시안 곱 했을 때의 릴레이션 차수 / 튜플 수 구하기 차수 = 차수 + 차수, 튜플 수 = 튜플 수 * 튜플 수
릴레이션의 특징  
각 스키마의 특징 개념 / 논리 / 물리
이상현상에 대한 특징  
이진트리에서 전위운행법 계산하기 전위운행법 : Root -> Left -> Right
중위운행법 : Left -> Root -> Right
후위운행법 : Left -> Right -> Root
후위표기법  
테스트 데이터를 찾아내는 방법 1) 자료흐름도
2) 기능테스트
3) 입력도메인분석
4) 랜덤테스트
UML다이어그램 중 순차다이어그램 순차다이어그램은 정적 다이어그램이 아니라 동적 다이어그램
인스펙션 과정 계획 -> 사전교육 -> 준비 -> 인스펙션 회의 -> 수정 -> 후속조치
하향식 테스트 / 상향식 테스트에 대한 개념  
패키징의 설명  
상속에 대한 개념 상속 / 캡슐화 / 정보 은닉 등에 대한 개념 헷갈리지 않도록 구분
instance의 정의  
UI설계원칙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성질은 직관성
사용자 인증  
스크럼에서 수행 작업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차트 번다운차트
프로세스 개발 단계에 따른 테스트 종류 개발 - 단위테스트
설계 - 통합테스트
기능명세 - 시스템테스트
요구사항 분석 - 인수테스트
럼바우 객체지향 분석 기법의 종류 객체 모델링 / 동적 모델링 / 기능 모델링
요구사항 관리 도구의 필요성  
나선형 모형 (Spiral Model)  
플랫폼 성능 특성 분석 경과 시간, 사용률, 응답 시간, 가용성
요구사항 명세 (정형 명세 / 비정형 명세의 특징) Z스키마 명세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정형 명세
시큐어 코딩의 특징  

 

대충 기존의 기출문제들이라도 열심히 돌려보면 된다.

 

 

 

[준비물]

 

신분증, 필요 시 볼펜

계산기는 CBT 시험 프로그램 안에 자체적으로 존재하고 연습 종이는 나눠준다.

 

 

 

[공부방법]

 

실기를 대비해서 어느 정도 이론이나 개념까지 같이 잡아서 공부하고 싶다 하면

당연히 문제집을 사서 공부하는 게 좋고

보통은 시나공이나 수제비에서 나온 문제집들을 산다.

 

그런데 도저히 혼자서는 공부하기가 힘들다, 강의로 족집게 내용만 보고 싶다 하면 유튜브에서 아래 재생목록을 강력히 추천

 

https://youtu.be/JhKOsZuMDWs?si=rEX6epBm3dS5xN_M

 

이기적 영진닷컴이라는 곳에서 강사님이 5과목에 대해

각각 기출 됐던 부분만 추려서 알려주시는데 뭐 위주로 봐야 할지 모르겠다 싶을 때 정말 도움이 많이 됐다.

그리고 실제로 연계율이 매우 매우 높다.

한 번씩 들으면서 내용 정리하는 것을 강추

 

나는 기출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수제비에서 25년 필기 기출문제집을 구매해 풀었다.

 

회사 다니면서 공부하려는데 다른 전자기기는 보안 때문에 반입이 불가해서

종이책 들고 다니면서 풀었다..

역시 자격증 공부는 미리미리하는 것이 ^^,,,

 

최근 몇 년간의 기출문제를 모아놔서 여기에서 풀었던 문제들도 실제로 1회 차 시험에 비슷하거나

동일하게 나온 문제들도 있었다.

무엇보다도 필기는 무조건 기출문제 싸움이니까 꼭 풀어봐야 한다.

 

 

 

 


 

어쨌든 필기에 합격하고 이제는 실기 차례인데 과연 한 번에 합격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ㅎ

아무튼 올해는 좀 다시 열심히 가보자고~~~

 

반응형

'Study > 20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3 총정리 / 레이아웃 구조 잡기  (0) 2023.12.13
HTML5 총정리 / 시멘틱 코딩하기  (0) 2023.12.12
2023년 1회 sqld개발자 시험 후기  (8) 2023.03.30

댓글